티스토리 뷰

여름이 오기 전에 장마가 꼭 찾아오게 됩니다. 안그래도 더운 날씨에 습한 기운이 온 집안에 머물고 있으면 기분이 많이 가라앉습니다. 최근 많은 분들이 이럴 때 이용하게 되는 기기 중 하나가 제습기 입니다. 한 달 제습기 전기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에 제습 기능이 있지만 이번 시간에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습기를 예를 들어 제습기 전기세를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전기제품을 구입하면 사양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을 좌우하는 것은 소비전력으로 안내되는 사용면적을 준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용면적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습효과도 떨어지게 되고 계산 범위를 벗어나는 요금이 나올 수가 있습니다. 우선 소비전력만 기억하면 됩니다.

 

 

네이버에 전기요금을 계산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제품종류를 선택하고 확인한 소비전력을 입력하고 각 가정마다 사용하는 평균시간을 입력하면 한 달 사용량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가정에서 계약 된 전기요금 체계를 선택하여 계산 된 사용량을 입력하면 예상 되는 요금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때 알아두어야 할 점은 전기제품을 제습기 하나만 사용을 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사이버지점을 방문하면 바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전기요금을 좌우하는 첫번째 항목이 계약되는 전기요금 종류입니다. 고지서에서 안내가 되어 있으므로 고지서를 주의깊게 확인을 합니다. 조건에서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선택하여 계산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사용량에 따라 전기요금 누진제가 적용이 됩니다.

 

 

전기요금표를 확인하면 계약종류마다 적용 되는 전기요금 누진제 상의 요금 적용 구간을 확인이 가능합니다. 제습기 전기세를 단독으로 확인을 하면 부담이 적은 수준이지만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체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크게 오를 수 있으므로 고지서에 나오는 한 달 평균 사용량을 우선 확인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댓글